목차
▣ 들어가는 말: 불확실한 시대, 필요한 것은 '예측의 지혜'
▣ 들어가는 말: 불확실한 시대, 필요한 것은 '예측의 지혜'
“예측 가능한 싸움만 하라.”
오늘날 우리는 전쟁터와 같은 세상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기술, 끝없는 경쟁 속에서 우리는 늘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언제 싸워야 할까? 물러서야 할까? 어디에 힘을 집중해야 할까? 내가 믿을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손자의 지혜입니다. 그중에서도 모공편의 마지막 구절은 ‘예측 가능한 승리’에 대한 전형적이면서도 가장 현실적인 해답을 줍니다.
손자는 단순히 전투에서 이기는 방법이 아니라, 싸우지 않고 이기는 길, 그리고 반드시 이길 수밖에 없는 조건을 이야기합니다. 이 고대의 전략은 단순한 전략서의 끝이 아닙니다. 전쟁뿐 아니라 삶, 조직, 비즈니스, 인간관계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깊은 통찰이 담겨 있습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 이 짧은 한 문장이 왜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에게 회자되는지, 오늘 그 의미를 함께 탐구해보겠습니다.
▣ 본문 : 원문과 해설, 현대적 해석 및 교훈
1. 원문과 해설
故知勝有五.(고지승유오)
知可以與戰不可以與戰者勝,(지가이여전불가이여전자승)
識衆寡之用者勝,(식중과지용자승)
上下同欲者勝,(상하동욕자승)
以虞待不虞者勝,(이우대불우자승)
將能而君不御者勝,(장능이군불어자승)
此五者, 知勝之道也.(차오자 지승지도야)
해석:
그러므로 승리를 미리 알 수 있는 다섯 가지 방법이 있다.
1. 싸워야 할 때와 싸우지 말아야 할 때를 아는 자는 이긴다.
2. 병력의 많고 적음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는 이긴다.
3. 위와 아래가 하고자 하는 것이 같다면 이긴다.
4. 준비된 자가 준비되지 않은 자를 기다리면 이긴다.
5. 장수가 유능하고 군주가 간섭하지 않으면 이긴다.
이 다섯 가지는 모두 승리를 미리 일 수 있는 방법이다.
故曰,(고왈)
知彼知己, 百戰不殆.(지피지기 백전불태)
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부지피이지기 일승일부)
不知彼而不知己, 每戰必殆.(부지피부지기 매전필태)
해석:
그러므로 말하기를,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고,
적을 알지 못하고 나를 알면 승부의 확률은 반이며,
적도 모르고 나도 모르면 싸울 때마다 반드시 위태롭다.
2. 현대적 해석 및 교훈
손자의 이 마지막 교훈은 단순한 전쟁 전략을 넘어서 오늘날의 사회, 조직 경영, 자기계발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각 항목을 하나하나 뜯어보며 오늘날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 싸울 시점과 피할 시점을 아는 자
- 교훈: 감정이나 분위기에 휘둘리지 말고, 이성적으로 ‘타이밍’을 판단해야 합니다.
- 현실 예시: 직장에서 상사와 마찰이 생겼을 때 즉각적으로 맞서기보다는 조직 분위기와 나의 위치, 영향력을 고려한 뒤 가장 효과적인 시점과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 비즈니스 적용: 경쟁사와의 가격 경쟁, 신제품 출시 타이밍 등도 감이 아니라 '데이터 기반 판단'이 필요합니다.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이익을 얻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2️⃣ 자원의 많고 적음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줄 아는 자
- 교훈: 가지고 있는 것이 많든 적든, 전략적으로 쓸 수 있어야 합니다.
- 현실 예시: 대기업의 막대한 자본보다 스타트업의 집중력과 실행력으로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클럽하우스(Clubhouse)는 초기 투자와 인원이 많지 않았지만, 타이밍과 집중된 콘텐츠 전략으로 급속히 성장했습니다. - 개인에게 적용: 시간, 체력, 지식 등은 모두 자원입니다. 나에게 있는 것을 어떻게 조합하고 언제 쓰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립니다.
3️⃣ 조직의 위아래가 같은 목표를 향하는 자
- 교훈: 리더와 구성원이 한마음이 되어야 위기를 넘길 수 있습니다.
- 현실 예시: 코로나19로 위기를 겪었던 항공업계에서, 일부 기업은 전 직원이 임금 삭감에 동의하며 회사와 생존을 함께 고민했습니다. 이러한 단합이 기업 회복의 핵심 동력이 되었습니다.
- 가정이나 커플에도 적용: 서로의 목표와 방향성이 다르면 결국 갈등이 생깁니다. ‘같은 곳을 바라보는 관계’가 지속 가능한 관계입니다.
4️⃣ 준비된 자가 그렇지 못한 자를 기다릴 수 있는 구조
- 교훈: 위기 때 기회를 잡는 사람은 평소에 꾸준히 준비한 사람입니다.
- 현실 예시: 주식 시장에서는 폭락장에 과감히 매수해 수익을 올리는 이들이 있는데, 그들은 위기를 예측하고 미리 현금을 확보해두고 있던 준비된 투자자입니다.
- 개인에게 적용: 자격증, 실력, 인간관계 등은 모두 평소에 준비해야 위기의 순간 진가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5️⃣ 장수를 믿고 맡길 줄 아는 리더십
- 교훈: 유능한 사람에게는 맡기고 믿는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 현실 예시: 넷플릭스의 ‘자율과 책임’ 철학은 직원들이 스스로 판단하고 창의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문화를 만들었습니다. 반대로, 마이크로 매니지먼트(지나친 간섭)는 혁신과 자율성을 죽입니다.
- 조직 내 적용: 직원을 신뢰하지 않으면 이직률이 높아지고, 조직은 학습하지 못하며 성장하지 않습니다.
▣ 마무리 글: 싸움보다 더 어려운 것은 '싸움을 피하는 용기'
손자가 우리에게 말해주는 마지막 메시지는 단순합니다.
“싸워야 할 때와 피해야 할 때를 구분하라. 그리고, 이길 싸움만 하라.”
현대인은 수많은 전쟁을 매일 치르고 있습니다. 직장에서의 경쟁, 가정에서의 갈등, 사회 속의 불안함… 하지만 이 모든 싸움에서 '무조건 이기려는 자세'는 오히려 나를 소모시킬 뿐입니다.
진짜 전략가는 필요할 때만 싸우며, 그 싸움에서 반드시 이기는 사람입니다.
그는 준비가 되어 있고, 스스로를 알고, 상대를 분석하며, 조직을 이끌고, 믿을 줄 아는 사람입니다.
이 다섯 가지 조건은 단순한 전술이 아니라 삶을 살아가는 방식, 태도이며 철학입니다.
지금의 여러분은 이 조건을 얼마나 갖추고 있나요?
그렇다면 이제 어떤 싸움을 피해야 하고, 어떤 싸움을 준비해야 할지 분명히 보이시겠죠?
2025.04.06 - [손자병법] - [손자병법 모공편 1] 싸움의 미학, 승리보다 ‘무파괴’가 더 중요하다
[손자병법 모공편 1] 싸움의 미학, 승리보다 ‘무파괴’가 더 중요하다
손자병법 모공편 1 - 싸움의 미학, 승리보다 ‘무파괴’가 더 중요하다목차들어가는 말 - 싸움은 그저 이기는 것이 아닙니다원문과 해설현대적 해석과 교훈사례 예시마무리 - 파괴 없는 승리는
moonjaseup.tistory.com
2025.04.07 - [손자병법] - [손자병법 모공편 2] 백전백승이 아닌 최고의 전략
[손자병법 모공편 2] 백전백승이 아닌 최고의 전략
싸우지 않고 이기는 법 - 백전백승이 아닌 최고의 전략목차들어가는 말: 우리는 왜 늘 ‘이기려고’만 할까?고전 원문과 해설현대적 해석: 이기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상처 없는 승리’교훈
moonjaseup.tistory.com
2025.04.08 - [손자병법] - [손자병법 모공편 3] 싸우지 않고 이기는 자, 그가 진정한 승자다
[손자병법 모공편 3] 싸우지 않고 이기는 자, 그가 진정한 승자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법, 그 깊은 지혜목차들어가는 말: 삶의 전쟁터, 그 속에서 길을 찾는 법본문: 손자의 말, 그리고 그 깊은 의미마무리: 싸우지 않는 사람이 결국 가장 강하다들어가는 말: 삶
moonjaseup.tistory.com
2025.04.09 - [손자병법] - [손자병법 모공편 4] 진짜 전쟁은 '판단력'에 달려 있다
[손자병법 모공편 4] 진짜 전쟁은 '판단력'에 달려 있다
강함은 수의 문제가 아니다 — 진짜 전쟁은 '판단력'에 달려 있다목차들어가는 말: '작은 군대'의 전략은 무엇이어야 할까?본문 원문과 해설마무리: 유연함은 약함이 아니다, 최고의 무기다들어
moonjaseup.tistory.com
'손자병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자병법 군형편 2] 드러나지 않는 승리의 기술 (0) | 2025.04.12 |
---|---|
[손자병법 군형편 1] 이기려 하지 말고 지지 않으려 하라 (1) | 2025.04.11 |
[손자병법 모공편 4] 진짜 전쟁은 '판단력'에 달려 있다 (2) | 2025.04.09 |
[손자병법 모공편 3] 싸우지 않고 이기는 자, 그가 진정한 승자다 (7) | 2025.04.08 |
[손자병법 모공편 2] 백전백승이 아닌 최고의 전략 (8)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