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소학

[사자소학 13] “함께 살아가는 힘: 공동체의 지혜”

by moonjaseup 2025. 5. 18.
목차

▣ 들어가는 말: 함께 살아가는 일이 더 어려워진 시대에


▣ 본문: 삶의 원칙과 실천


▣ 마무리: 공동체를 다시 바라보는 우리의 자세

[사자소학 13] “함께 살아가는 힘: 공동체의 지혜”
“함께 살아가는 힘: 공동체의 지혜”


들어가는 말: 함께 살아가는 일이 어려워진 시대에

살면서 가장 어려운 일은 생각보다 '사람과의 관계'입니다.
마음을 전하는 것도 어렵고 상대의 입장을 이해하는 일도 쉽지 않습니다. 누구보다 가까운 가족과도 때때로 오해가 생기고, 이웃과는 그저 같은 공간에 사는 사람’으로만 머물기도 합니다.

사회가 점점 빠르게 변하고, 각자의 삶에 몰두해야 하는 시대 속에서, ‘함께 살아간다’감각은 점점 희미해지고 있습니다. 누군가의 기쁨이나 아픔에 반응하는 일이 낯설어졌고, 서로의 잘잘못을 조심스럽게 꺼내야 하는 분위기 속에서 관계의 온도’예전보다 차가워졌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시대가 달라져도 사람은 여전히 사람과 함께 살아야 합니다. 혼자선 완성될 없는 삶, 함께할 비로소 의미가 더해지는 경험들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다시 물어야 합니다.
좋은 공동체란 무엇인가?”
어떻게 해야 함께 살아갈 있을까?”

질문에 오래전 조선의 고전 『사자소학』명확하고도 따뜻한 답을 줍니다. 13장에 담긴 '향약의 가지 덕목'공동체와 개인의 조화를 이루는 삶의 원칙이자 실천 가능한 지혜입니다.
지금 우리의 일상 속에 필요한 덕목들입니다. 글을 통해 오래된 지혜를 오늘의 삶에 다시 꺼내보려 합니다.


▣ 본문: 삶의 원칙과 실천

1. 원문과 해석: 향약의 4대 덕목, 공동체의 뿌리를 말하다

德業相勸(덕업상권)
덕업은 서로 권하고,
過失相規(과실상규)
과실은 서로 타이르며,
禮俗相交(예속상교)
예스러운 풍속은 서로 사귀고,
患難相恤(환난상휼)
재앙과 어려운 일은 서로 구휼하라.
貧窮困厄(빈궁곤액)
빈궁과 재액이 있을 때에는
親戚相救(친척상구)
친척들이 서로 구원해 주며,
婚姻死喪(혼인사상)
혼인과 초상에는
鄰保相助(인보상조)
이웃끼리 서로 도와라.
修身齊家(수신제가)
자기 몸을 닦고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것은
治國之本(치국지본)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고
讀書勤儉(독서근검)
책을 읽으며 부지런하고 검소함은
起家之本(기가지본)
집안을 일으키는 근본이다.

짧은 문장 속에는 공동체와 개인, 삶의 방향과 자세에 대한 놀라운 통찰이 담겨 있습니다. ‘향약’단순히 농촌 생활의 규칙이 아니라 인간관계의 본질을 짚는 도덕적 약속이었음을 있습니다.


2. 현대적 해설: 지금 이 시대에 필요한 덕목은 무엇인가

‘덕업상권’과실상규’단순한 도덕 훈계가 아닙니다. 이는 건강한 피드백 문화와 상호 발전의 원칙입니다. 친구나 동료가 좋은 일을 하면 격려하고, 실수했을 조용히 바로잡아주는 문화가 진정한 공동체를 만듭니다.

‘예속상교’전통과 정서적 유대를, 환난상휼’재난과 위기의 연대뜻합니다.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문화는 여전히 유효한 삶의 원칙입니다.

수신제가’, 독서근검’우리가 자주 잊는 삶의 기본 태도입니다. 나를 닦고 검소하고 부지런하게 사는 자세는 어느 시대든 가정을 안정시키고 사회를 바로 세우는 핵심됩니다.


3. 실천할 수 있는 방법과 사례: 고전 속 덕목, 일상에서 실천하는 법

■ 일상 속 ‘덕업상권’ 실천하기

회사 동료나 친구가 좋은 성과를 냈을 칭찬을 아끼지 마세요. “정말 수고했어”, “너무 잘했어” 같은 진심 어린 격려가 팀워크를 키웁니다.

■ 실수에 대한 ‘과실상규’ 적용하기

가족이나 직장 내에서 문제가 생겼을 비난보다는 조언과 제안으로 접근하세요. "다음엔 이렇게 해보면 어때?"라는 말은 신뢰를 쌓는 힘이 됩니다.

■ ‘인보상조’공동체 정신 회복하기

이웃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인사’입니다. 작은 관심과 대화가 안전하고 따뜻한 마을을 만듭니다. 마을 행사나 봉사활동에도 참여해보세요.

독서근검’ 실천하기

하루 10분이라도 책을 읽는 습관을 만들어보세요.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가계부를 작성해보는 것도 작지만 강력한 실천입니다.


▣ 마무리: 공동체를 다시 바라보는 우리의 자세

사자소학』 13장의 문장은 짧지만 안에 담긴 메시지는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서로를 권하고, 타이르고, 돕고, 함께하는 삶. 그것은 우리가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공존의 윤리이며, 공동체 회복의 실마리입니다.

요즘처럼 자기 삶을 지키기에도 벅찬 시대에 타인을 위해 먼저 손을 내민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하지만 누군가가 먼저 시작하지 않으면 관계는 멀어지고 공동체는 점점 해체되어갑니다.
그래서 더욱 중요한 거창한 행동이 아니라 작은 실천입니다.
지금 글을 읽는 여러분이 오늘 가지라도 실천해 본다면 그것이 변화의 시작일 있습니다.

  • 칭찬 한마디
  • 조용한 충고
  • 따뜻한 인사
  •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검소함...

모두가 『사자소학』말한 삶의 덕목과 맞닿아 있습니다.

좋은 관계는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좋은 사회 역시 누군가의 ‘먼저’에서 시작됩니다.
고전은 이렇게 말합니다.

“몸을 닦고 가정을 세우는 것이,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다.”

 

내가 달라지면 우리가 달라지고,
우리가 달라지면 세상도 달라질 있습니다.
그리고 변화는 생각보다 가까운 곳,
일상 속에서부터 시작됩니다.

 

 

 

2025.05.17 - [사자소학] - [사자소학 12] 마음을 닦는다는 것

 

[사자소학 12] 마음을 닦는다는 것

목차▣ 들어가는 말 – ‘예절’은 낡은 말일까?▣ 본문▣ 마무리 – 나를 지키는 방식, 그것이 바로 예다▣ 들어가는 말 – ‘예절’은 낡은 말일까?우리는 언제부터 '예절'이라는 단어를 불편

moonjaseup.tistory.com

2025.05.16 - [사자소학] - [사자소학 11] 일상을 다듬는 아홉 가지 자세와 생각 – ‘구용'과 '구사’

 

[사자소학 11] 일상을 다듬는 아홉 가지 자세와 생각 – ‘구용'과 '구사’

목차▣ 들어가는 말 – 당신의 '자세'와 '생각'은 안녕하신가요?▣ 본문▣ 마무리 글 – 단정한 하루가 단단한 인생을 만든다▣ 들어가는 말 – 당신의 '자세'와 '생각'은 안녕하신가요?하루에도

moonjaseup.tistory.com

2025.05.15 - [사자소학] - [사자소학 10] 오륜과 삼강, 그 깊은 뜻을 풀다

 

[사자소학 10] 오륜과 삼강, 그 깊은 뜻을 풀다

목차▣ 들어가는 말: “사람다움의 기준, 고전에서 찾다▣ 본문▣ 마무리: “오륜과 삼강,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삶의 중심”▣ 들어가는 말: “사람다움의 기준, 고전에서 찾다사람 사이의

moonjaseup.tistory.com

2025.05.14 - [사자소학] - [사자소학 9] 사람을 보면 나를 안다

 

[사자소학 9] 사람을 보면 나를 안다

목차▣ 들어가는 말: 관계는 선택이며 그 선택이 나를 만든다▣ 본문▣ 마무리 글: 인간관계, 가장 현실적이고 가장 중요한 선택 ▣ 들어가는 말: 관계는 선택이며 그 선택이 나를 만든다내가 어

moonjaseup.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