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는 말 – 당신의 '자세'와 '생각'은 안녕하신가요?
▣ 들어가는 말 – 당신의 '자세'와 '생각'은 안녕하신가요?
하루에도 수십 번,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많은 행동을 반복합니다. 걷고, 앉고, 말하고, 듣고, 바라보고 생각을 합니다.하지만 그 행동 하나하나에 깃든 ‘자세’와 ‘생각’의 질감에 대해서는 얼마나 자주 되돌아보시나요?
요즘처럼 빠르게 흘러가는 사회 속에서는 겉모습과 속마음이 따로 노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의는 형식처럼 여겨지고, 말은 빠를수록 좋고, 감정 표현은 즉각적일수록 진실하다는 착각에 빠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삶의 진짜 품격은 화려한 말이나 똑똑한 생각보다 단정한 자세와 깊은 사려에서 비롯됩니다.
고전은 우리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구체적으로 알려주지는 않지만 우리가 무엇을 소중히 여겨야 하는지, 그리고 스스로를 어떻게 다듬을 것인지에 대해 잊지 않도록 일깨워 줍니다.
『사자소학』 제11장, ‘구용(九容)’과 ‘구사(九思)’는 지금 우리 시대에 꼭 필요한 태도와 성찰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이 다시 한 번 ‘내 몸의 자세는 단정한가’, ‘내 마음의 방향은 곧은가’를 돌아보는 기회를 가지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고전의 말 한 구절이 당신의 하루를 더욱 빛나게 해주기를 바랍니다.
▣ 본문
1. 원문과 해석 – ‘구용(九容)’과 ‘구사(九思)’
■ 구용(九容) – 아홉 가지 단정한 자세
足容必重(족용필중)
발의 용모는 반드시 무겁게 하며,
手容必恭(수용필공)
손의 용모는 반드시 공손하게 하며,
目容必端(목용필단)
눈의 용모는 반드시 단정히 하며,
口容必止(구용필지)
입의 용모는 반드시 듬직히 하며,
聲容必靜(성용필정)
소리의 용모는 반드시 조용하게 하며,
頭容必直(두용필직)
머리의 용모는 반드시 곧게 하며,
氣容必肅(기용필숙)
숨 쉴 때의 용모는 반드시 엄숙히 하며,
立容必德(입용필덕)
서 있는 모습은 반드시 덕이 있게 하며,
色容必莊(색용필장)
얼굴 용모는 반드시 씩씩하게 할 것이니,
是曰九容(시왈구용)
이것을 말해서 구용이라고 한다.
■ 구사(九思) – 아홉 가지 바른 생각
視必思明(시필사명)
볼 때에는 반드시 밝게 볼 것을 생각하며,
聽必思聰(청필사총)
들을 때에는 반드시 밝게 들을 것을 생각하며,
色必思溫(색필사온)
얼굴빛은 반드시 온화하게 할 것을 생각하며,
貌必思恭(모필사공)
용모는 반드시 공손하게 할 것을 생각하며,
言必思忠(언필사충)
말은 반드시 성실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事必思敬(사필사경)
일은 반드시 공손하게 할 것을 생각하며,
疑必思問(의필사문)
의심 나는 것은 반드시 물을 것을 생각하며,
忿必思難(분필사난)
분노가 날 때에는 반드시 후환을 생각하며,
見得思義(견득사의)
얻을 것을 보면 의를 생각해야 하니,
是曰九思(시왈구사)
이것을 말해서 구사라고 한다.
2. 현대적 해설 – 구용과 구사의 가치, 지금도 유효하다
‘구용’은 몸의 태도, ‘구사’는 마음의 방향을 말합니다.
이 두 가지는 단순한 예절 교육을 넘어 타인과의 관계에서 신뢰를 쌓는 핵심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요즘 취업 면접에서는 단지 말솜씨보다 자세, 시선, 말투를 통해 지원자의 인성을 평가합니다.
또한 리더의 언행은 조직 전체의 분위기를 좌우합니다. 말을 성실하게 하고, 의심 나는 사항은 묻고, 분노에 대해 참는 태도는 조직의 갈등을 줄이고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는 힘이 됩니다.
즉 구용과 구사는 ‘나를 다스림으로써 세상을 바꾸는’ 철학입니다. 이는 인공지능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인간다움의 척도입니다.
3. 실천할 수 있는 방법과 사례 – 생활 속 '구용'과 '구사' 적용법
■ 아침 거울 앞, 자세를 점검하자
- 발을 단단히, 머리는 반듯하게. 스마트폰을 보는 자세부터 바꿔보세요.
- 카페나 엘리베이터 등 일상 공간에서 서 있는 모습이 누군가에게 첫인상이 됩니다.
■ 말하기 전, 생각 한 번 더
- 회의나 대화 중 의심이 생기면 즉시 질문하기. 모르는 걸 숨기는 건 오히려 손해입니다.
- 화가 날 때는 메모장에 감정을 적고 10분 후 다시 보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후회를 줄입니다.
■ 온화한 얼굴과 공손한 말투의 힘
- 마주치는 사람에게 눈을 맞추고 미소 짓기. 얼굴빛 하나가 신뢰를 만듭니다.
- 특히 고객을 상대하는 서비스업 종사자라면 ‘구사’는 가장 실용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입니다.
▣ 마무리 글 – 단정한 하루가 단단한 인생을 만든다
우리는 매일을 살아가며 수많은 자극과 감정, 선택 앞에 놓입니다.
그 안에서 흔들리지 않는 삶을 위한 최소한의 원칙은 무엇일까요?
바로 ‘어떤 모습으로 행동할 것인가’와 ‘어떤 생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것인가’입니다.
‘구용’은 몸을, ‘구사’는 마음을 다스리는 일입니다.
이 두 가지는 분리된 개념이 아니라 내면과 외면이 조화를 이루는 삶의 태도입니다.
고요한 움직임 속에 품격이 깃들고, 신중한 생각 속에 존중이 자라납니다.
오늘 하루, 걷는 모습이 조금 더 단정하고, 말 한 마디가 조금 더 공손하며,
내면의 감정이 조금 더 깊이 숙성된다면, 그것이 바로 고전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실용적인 선물이 될 것입니다.
가르치려 하지 않고 조용히 곁에 있어 주는 고전의 말 한 줄이
지금 이 순간의 나를 위로하고, 다듬고, 앞으로 나아가게 합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여러분들께서 몸가짐은 덕으로, 마음가짐은 예로 채우는 삶을 권합니다.
그 한 걸음의 변화가 우리의 관계를 바꾸고, 우리 자신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2025.05.15 - [사자소학] - [사자소학 10] 오륜과 삼강, 그 깊은 뜻을 풀다
[사자소학 10] 오륜과 삼강, 그 깊은 뜻을 풀다
목차▣ 들어가는 말: “사람다움의 기준, 고전에서 찾다▣ 본문▣ 마무리: “오륜과 삼강,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삶의 중심”▣ 들어가는 말: “사람다움의 기준, 고전에서 찾다사람 사이의
moonjaseup.tistory.com
2025.05.14 - [사자소학] - [사자소학 9] 사람을 보면 나를 안다
[사자소학 9] 사람을 보면 나를 안다
목차▣ 들어가는 말: 관계는 선택이며 그 선택이 나를 만든다▣ 본문▣ 마무리 글: 인간관계, 가장 현실적이고 가장 중요한 선택 ▣ 들어가는 말: 관계는 선택이며 그 선택이 나를 만든다내가 어
moonjaseup.tistory.com
2025.05.13 - [사자소학] - [사자소학 8] 어른을 공경하고 친구를 귀히 여기는 삶
[사자소학 8] 어른을 공경하고 친구를 귀히 여기는 삶
목차▣ 들어가는 말: 우리가 잊고 지낸 ‘예의와 관계’에 대해▣ 본문▣ 마무리: 인간다움을 지켜주는 작은 태도들▣ 들어가는 말: 우리가 잊고 지낸 ‘예의와 관계’에 대해요즘 사람들과의
moonjaseup.tistory.com
'사자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소학 13] “함께 살아가는 힘: 공동체의 지혜” (11) | 2025.05.18 |
---|---|
[사자소학 12] 마음을 닦는다는 것 (12) | 2025.05.17 |
[사자소학 10] 오륜과 삼강, 그 깊은 뜻을 풀다 (13) | 2025.05.15 |
[사자소학 9] 사람을 보면 나를 안다 (9) | 2025.05.14 |
[사자소학 8] 어른을 공경하고 친구를 귀히 여기는 삶 (10) | 2025.05.13 |